OVERVIEW
행  사  명
 2023 서울관광 국제경쟁력 강화 심포지엄
 Seoul Tourism Symposium for Global Competitiveness 2023
일        시
 2023. 10. 12.(목) 11:30~18:00 
장        소
 롯데호텔 서울 3층, 사파이어 볼룸
주        제
 서울관광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회와 혁신
 Opportunities and Innovation for Beyond Seoul Tourism
내        용
 기술과 콘텐츠 등 ‘다학제간 융합(Beyond tourism)’을 중심으로
 미래 관광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서울관광 경쟁력 강화방안 모색
참가대상
 서울관광 관계자 및 UIA 아태총회 참가자 약 150여 명

 PROGRAM
시간
프로그램
11:30~12:0030'서울관광 국제경쟁력 강화 심포지엄 개회식개회사 서울시의회 문체위원장
환영사 서울관광재단
12:00~13:3090'오찬 및 커피
13:30~14:1545'주제발표 1ICT 최신 동향에 따른 관광경쟁력 강화방안
셀린 워커호프
익스피디아 아시아 태평양 사업개발 이사 
14:15~14:5540'패널토론 1관광 트렌드(ICT 최신 동향)에 따른
관광경쟁력 강화방안

좌장 : 김대관
            경희대학교 Hospitality경영학과 교수
토론 : 윤희식 마이크로소프트 이사
          
박상원 경희대학교Hospitality경영학과 교수
        
 Angela Shelton 
            Answer for Associations 대표
14:55~15:2025'커피 브레이크
15:20~16:0040'주제발표 2한류문화콘텐츠 중심의 관광경쟁력 강화방안노가영 콘텐츠미디어산업 전문가
16:00~16:4040'패널토론 2문화콘텐츠 중심의 관광경쟁력 강화
좌장 : 고계성
           
한국관광학회 학회장
토론 : 강인식 
스토리타이거 대표이사
           이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 본부장

           Paula Rowntree

           Business Events Network 대표

16:40~17:0020'폐회사UIA · 심포지엄 공동 폐회사
17:00~18:0060'환송만찬

※ 상기 프로그램은 추후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연사 및 세션소개

주제2  ㅣ  한류문화콘텐츠 중심의 관광경쟁력 강화방안




발표연사 ㅣ 노가영  콘텐츠미디어산업 전문가, 트렌드북 작가


CJ CGV와 CJ엔터테인먼트(現, CJ ENM)에서 콘텐츠 유통으로 기업생활을 시작했고 KT, SK텔레콤 등 통신기업에서 

미디어 전략, 콘텐츠 투자, OTT 사업전략 리더로 성장했습니다. 현재는 콘텐츠 전문가로서 디지털 콘텐츠 산업 구석구석과 글로벌 미디어 판에서 K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를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저서 집필과 강연 뿐 아니라 컬럼 기고, 유튜브, TV, 라디오 등 다양한 채널을 넘나들며 활동 중입니다. 


작가로서는 2018년 <유튜브온리>를 시작으로 이후 매년 출간되고 있는 트렌드북 <콘텐츠가 전부다> 시리즈의 대표 저자입니다. 최신작으로는 유아동과 초등학생인 알파세대의 출현과 그들의 특징을 다룬 <새로운인류 알파세대>가 있으며, 다양한 기업과 브랜드, 국가기관, 삼성전자 사장급 특별 강연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관광 상품 트렌드와 소셜 콘텐츠 전략 "   


지정학-거시경제-기술-AI생산성 혁명까지 2차 세계대전 이후,가장 많은 대변혁들이 한꺼번에 몰려왔다는 2022-2023년이다.

이 시대에 여행의 의미를 재정의하고 관광 상품의 본질을 구조화한다.

이를 위해 소셜 콘텐츠 마케팅의 흐름을 이해한 뒤, K 관광의 상품 구성과 소통 방식 등, 나아갈 방향성을 제언한다.

관련하여, 서울관광재단이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설명하며 맺는다.


  •  2020년 이후, 최근 3년간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K콘텐츠 진화과정을 들여다보며 K콘텐츠의 현재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
  • 왜 지금 숏폼 소통이 중요하고, 국내외 기업들과 서비스는 왜 숏폼과 콘텐츠 마케팅을 시작하는가
  • 평균상실의 시대에서 대중은 커뮤니티에서 취향을 입고 더 흩어진다 (CCC와 Very Local 전략)
  • 여행은 왜 하는가. 관광 주 소비층의 특징
  • 여행의 3대 요소를 정의하고 “사람이 사람을 부른다”를 도출
  • 1900년대 미슐렝 가이드가 시작한 지식정보 마케팅과 커뮤니티 전략이 2023 유튜브 콘텐츠의 핵심이다.
  • 관광상품에 스토리텔링을 더하고 + α 가 더 필요하다. (컨버전스)
  • 콘텐츠에 ‘공간 = 관광상품’이 더해진 Reference
  •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를 기반으로 K 관광상품이 나아갈 방향성과 서울관광재단이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제언한다.



좌장 ㅣ 고계성  한국관광학회 학회장   


경남대학교 관광학부 소속으로 활동 중인 한국관광학회 제27대 회장으로서 주요 관심 분야는 관광자원 보존과 활용, 관광상품 개발, 관광지 관리 등입니다. 그의 활동은 학교와 현장에서의 전공 영역을 접목하고 확장하며, 특히 남해안권 광역관광개발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제학술대회, 포럼, 세미나를 개최하거나 지역별로 준비하고 있으며, 지역관광의 지속 가능성과 협력의 중요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지역의 인구 감소와 일자리 창출, 경제 활성화, 관광생태계의 경쟁력 확보에 노력하고 있으며, 융복합 관광산업을 통한 젊은 세대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K-MOOC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책임교수로서 관광학 강좌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관에서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광학 분야의 주요 저서 저자로서 활동하고 있으며, 관광역사와 전염병의 연구를 통해 관광과 인류 이동의 역사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패널 ㅣ 강인식  스토리타이거 대표이사


KBS에서 방송 PD로 시작하여 SBS를 거쳐 KT에서 국내외 채널과 VOD(Video on Demand) 수급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미디어 컨텐츠 전문가입니다. 그는 지상파의 전성기에서 프로그램 제작을 시작하고, OTT의 등장과 함께 MVPD(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 플랫폼 사업의 위기를 직접 경험했습니다. 한국 미디어 산업의 위기와 이에 대한 구조적 원인과 해결 방법을 고민하며 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유명 키즈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수급하면서 프로그램의 흥망성쇠를 연구하였습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컨텐츠 반응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텔레토비, 뽀로로, 포켓몬스터 등을 분석하여 소셜워칭이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그 후에는 이 개념을 확장하여 한류 발전과 컨텐츠 간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한류 열풍을 활용하여 한글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라이브 제작 시스템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글게임과 사이버 세종학당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패널 ㅣ 이윤경  한국문관광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장



이윤경 본부장은 지난 20년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콘텐츠산업 정책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콘텐츠연구본부의 본부장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무조정실 미디어콘텐츠융합발전위원회 전문위원, 부총리 사회정책자문위원회 위원 등 콘텐츠 산업 및 사회정책을 위한 정부 지원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으며, 콘텐츠 산업정책 전반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패션 및 디자인 정책, 정책홍보, 국가브랜드, 문화마케팅 분야에 관심을 두고 관련 연구 보고서 및 논문, 서적 등 저술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패널 ㅣ Paula Rowntree  비즈니스 이벤트 네트워크 대표이사


Paula는 비즈니스 이벤트가 장기적인 경제 및 지속 가능한 영향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열정적으로 지지합니다. 

28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비즈니스 이벤트 및 협회/비영리 부문의 리더로서,  

협회와 협력하여 비즈니스 이벤트, 전략적 제휴 및 파트너십, 수익 다각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설계, 개발, 구현합니다.

이를 통해 회원 경험을 향상시키고, 변화하는 환경과 모범 사례에 적응하며, 수익을 창출합니다. 나아가 조직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호주 심리학회 대외협력 책임자이자 Business Events Network의 창립자이며, MCI Australia와 협력하여 협회 및 행사장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행사장 정보

 롯데호텔 서울 3F 사파이어 볼룸
서울 중구 을지로 30